조회수: 34

0. 시작하기에 앞서

PAToon Shader 를 적용하여 mmd 캐릭터로 멋진 연출을 해보려고 한다. 이번 글도 항상 신세를 지고 있는 유튜브 채널 The Weeb Dev Ch 의 이 동영상 의 내용을 참조하였다. 글이 아닌 영상으로 접하고 싶은 독자들은 링크를 통해 영상으로 볼 수 있길 바란다. 사전 준비로 아래와 같은 작업을 하였다. mmd 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아래의 작업으로는 지금 글을 보고 따라하기는 불가능하다. 필자는 지금까지 쓴 글들에서 했던 작업들을 토대로 아래의 작업을 선행한 후에 하는 것이라 mmd 가 처음인 사람은 그냥 영상을 보고 따라하는 것이 빠르다.

1. 기본 설정

스테이지 : Stage19 by G_Wuuuuu

캐릭터는 “sour식 하츠네 미쿠 블랙버전”이다.

완성했을 때 그래픽

○ 상단 뷰 탭의 아래의 3가지를 해제한다.

  • display coordinate axis
  • display ground shadow
  • transparent ground shadow

○ Light Manipulation (조명 조작) 으로 가서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 X : +1
  • Y : -0.5
  • Z : +1

○ Model Manipulation (모델 조작)으로 가서 아래의 모델을 Load 한다.

  • 캐릭터 – Hatsune Miku Model Black 을 로드
  • 스테이지 – Stage19 by G_Wuuuuu 을 로드

○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MMEffect 버튼을 눌른 뒤, EffectMapping을 선택하여 새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 Main 탭의 모델 캐릭터를 더블 클릭한 뒤 Ettects > PAToon2.98b > PAToon > PAToon.fx 를 클릭
  • Main 탭의 스테이지를 더블 클릭한 뒤 Ettects > PAToon2.98b > PAToonLite > 맨위의.fx 를 클릭
    • ※PAToon 은 가짜 그림자, 즉 PAToon 에서 미리 설정된 그림자를 사용한다.
    • ※PAToonLite 는 실제 메트리얼(재질)에 설정된 그림자를 사용한다.
  • Main 탭의 모델 캐릭터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한 뒤, 맨 아래의 항목을 클릭
    • 2 : subset2 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한 뒤, Remove Effect 를 클릭한다.
    • 캐릭터 눈 윤곽선의 이펙트를 제거했다.

2. PAToon controller 설정

○ Model Manipulation (모델 조작)으로 가서 아래의 모델을 Load 한다.

  • Ettects > PAToon2.98b > PAToon > PAToon controller.pmx 를 로드
    • Bone Place 섹션에서 아래의 값을 설정
    • Y = 14.5
    • Z = -5
  • facial manipulation (얼굴 조작) 으로 가서 아래의 값을 설정
    • alpha = 1
    • LtShadeSync = 1
    • null18 = 0.7
    • null19 = 0.4

3. 추가 Effects 설정

○ 메인화면의 왼쪽 하단에 있는 To camera 버튼을 눌러 카메라 모드로 전환 후 Accessary Manipulation (악세사리 조작) 파트로 가서 각종 효과를 로드한다.

  • Ettects > Diffusion7 > Diffusion.x 를 클릭
  • Ettects > HgSAO_002 > HgSAO.x 를 클릭
  • Ettects > HgSSAO_003 > HgSSAO.x
  • Ettects > AutoLuninous > AutoLuninous.x 를 클릭
    • MMEffect 버튼을 눌른 뒤, EffectMapping을 선택하여
    • AL_emitterRT 탭에 있는 Null_12, Null_13 을 선택하여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 Set effect File 을 클릭
    • Ettects > AutoLuninous > Option > full_Saturate.fx 을 클릭
  • Ettects > msColorCorrection_ver.1.0 > msColorCorrection.fx 를 클릭
    • Model Manipulation 색션에서
    • Ettects > msColorCorrection_ver.1.0 > msColorCorrectioncontroller.pmx 를 클릭
    • 화면 맨 왼쪽 상단에 File 탭에서 load motion data 를 클릭
    • Ettects > msColorCorrection_ver.1.0 > default.vmd 를 클릭
    • facial manipulation 에서 아래의 값을 변경
    • null05 = 0.3
    • null09 = 0.6

마지막으로

  • Ettects > PostRimLighting_r4 > PostRimLighting2D > PostRimLighting2D.x 를 클릭
    • MMEffect 버튼을 눌른 뒤, EffectMapping을 선택하여
    • PRL_AdditiveRT 탭에서 캐릭터 모델 부분을 제외한 모든 탭을 선택해제한다.
    • Accessary Manipulation (악세사리 조작) 파트로 가서
    • X, Y, Z 의 값을 모두 0.5로 조정한다.

이번에는 PAToon Shader 효과에 대한 튜토리얼을 마쳤다. 캐릭터나 스테이지에 사용한 PAToon의 효과는 MME에서 PAToon2.98b 폴더 안에 있는 다른 파일들로 교체하면 다른 여러가지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이것저것 클릭해보면서 다른 효과들의 연출도 경험해보고 자신이 생각한 결과와 비슷한 효과를 찾는 것도 커다란 즐거움일 것이다.

원코인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