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233
베어 너클(Bare Knuckle)은 1991년 세가(SEGA)에서 메가 드라이브(Genesis)용으로 개발한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이다. 해외에서는 Streets of Rage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 당시 캡콤의 《파이널 파이트(Final Fight)》에 대항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이 작품의 큰 성공으로 인해 이후 후속작들이 꾸준히 나오면서 90년대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의 대표적인 시리즈로 자리 잡게 되었다.
개요
- 개발사 : SEGA
- 플랫폼 : 메가 드라이브(Genesis)
- 장르 : 2D 밸트스크롤 액션
- 플레이어 : 1~2인 협력 플레이 지원
스토리
가까운 미래, 거대 범죄 조직이 도시를 장악하고 부패한 경찰과 관료들이 이를 방조하는 절망적인 상황이 펼쳐진다. 이에 맞서기 위해 액슬(Axel Stone), 블레이즈(Blaze Fielding), 애덤(Adam Hunter) 세 명의 전직 경찰관이 정의를 위해 직접 거리로 나선다.
이들은 범죄 조직의 보스 **미스터 X(Mr. X)**를 쓰러뜨리고 도시를 구하기 위해 싸워 나갈 것이다.
등장 캐릭터
각 캐릭터는 능력치와 특징이 다르며, 두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협력하여 진행할 수 있다.
캐릭터 | 설명 | 능력치 |
---|---|---|
액슬 스톤 (Axel Stone) | 전직 경찰이자 주인공. 균형 잡힌 능력치를 보유. | 힘: ★★★☆ / 속도: ★★★☆ / 점프: ★★★ |
블레이즈 필딩 (Blaze Fielding) | 유도 무술을 사용하는 전직 경찰. 민첩성이 뛰어남. | 힘: ★★☆ / 속도: ★★★★ / 점프: ★★★☆ |
애덤 헌터 (Adam Hunter) | 힘이 강하지만 속도가 느린 캐릭터. 킥 기술이 강력함. | 힘: ★★★★ / 속도: ★★☆ / 점프: ★★ |
게임 시스템 및 특징
■ 기본 조작
플레이어는 적과 싸우면서 진행하는 횡스크롤 액션 게임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기본 조작이 제공된다.
- 공격: 기본 펀치/킥, 연속 공격 가능.
- 점프: 점프 후 공격 가능.
- 잡기: 적 근처에서 방향 버튼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잡기 가능.
- 던지기: 잡은 상태에서 방향과 공격 버튼을 조합하여 던지기.
■ 무기 사용
게임 내에서는 몽둥이, 파이프, 나이프, 병 등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 무기는 획득 후 일정 횟수만 사용 가능.
- 일부 적들은 무기를 사용하여 공격하며, 빼앗아 사용 가능.
■ 특수기술 : 경찰차 원호사격
이 게임만의 독특한 시스템으로, 특수 기술을 사용하면 경찰차가 등장하여 강력한 전 화면 공격을 가합니다.
- 사용 시 경찰차가 화면 밖에서 나타나 포격을 가함.
- 보스전에서도 사용 가능하여 강력한 대미지를 줄 수 있음.
- 1개의 스톡을 소모하며, 각 스테이지 시작 시 1개씩 제공됨.
스테이지 정보
스테이지 | 배경 및 특징 | 보스 |
---|---|---|
Stage 1 – 도심 거리 | 도시 한복판에서 싸우는 시작 스테이지. 저녁 시간대의 분위기가 강조됨. | 바이커 쌍둥이(Souther & Jet) |
Stage 2 – 시내 중심가 | 건물 내부와 어두운 거리에서 진행. 네온사인이 반짝이는 분위기. | 바이커 쌍둥이 (Souther & Jet) |
Stage 3 – 해변 | 바다를 배경으로 싸우며, 바닥이 미끄러워지는 구간도 존재. | 거한 바디빌더 (Abadede) |
Stage 4 – 공장 지역 | 배경에 컨베이어 벨트, 기계장치가 등장하며 전투에 변수를 제공. | 파이어 브리더 (Antonio) |
Stage 5 – 유람선 위 | 움직이는 배 위에서 싸우며 바다 풍경이 강조됨. 공간이 좁아 공격 피하기 어려움. | 슈퍼 닌자 (Shiva) |
Stage 6 – 유흥가 | 카지노, 술집을 배경으로 진행. 돈과 도박을 연상시키는 적들 등장. | 거한 바디빌더 (Abadede, 재등장) |
Stage 7 – 미스터 X의 성채 입구 | 최종 보스를 향해 가는 긴장감 넘치는 스테이지. 보스 러시 구간 포함. | 미스터 X의 경호원들 |
Stage 8 – 미스터 X의 본거지 | 보스인 미스터 X와의 최종 결전이 펼쳐지는 곳. | 미스터 X |
주요 적 캐릭터
게임에 등장하는 일반 적들은 특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각 적들의 공격 스타일을 파악하는 것이 원코인 클리어의 기본이다.
■ 일반 적들
이름 | 설명 | 공격 패턴 |
---|---|---|
가르시아(Garcia) | 일반적인 잡몹. 단순한 공격 패턴을 가짐. | 주먹 공격, 무기 사용(몽둥이, 병) |
도노반(Donovan) | 강한 펀치를 사용하는 적. 머리띠가 특징. | 강력한 어퍼컷, 무기 사용(파이프) |
시그널(Signal) | 점프해서 백드롭을 사용하는 적. | 잡기 공격(백드롭), 빠른 이동 |
골드(Gold) | 시그널과 유사하지만 더 빠름. | 잡기 공격(백드롭), 연속 공격 |
야샤(Yasha) & 오니바쿠(Onihime) | 쌍둥이 여성 닌자. 속도가 매우 빠름. | 점프 킥, 회피, 연속 공격 |
잭(Jack) | 칼을 사용하는 적으로, 플레이어에게 칼을 던지기도 함. | 칼 던지기, 연속 칼 공격 |
■ 까다로운 적 캐릭터
보스 이름 | 등장 스테이지 | 특징 및 패턴 |
---|---|---|
바이커 쌍둥이 (Souther & Jet) | 스테이지 1, 2 | 빠른 움직임과 강한 킥을 사용. |
거한 보디빌더 (Abadede) | 스테이지 3, 6 | 거대한 체격과 강력한 잡기 공격이 특징. |
파이어 브리더 (Antonio) | 스테이지 4 | 불을 뿜어 공격하며, 거리를 두고 싸워야 함. |
슈퍼 닌자 (Shiva) | 스테이지 5 | 매우 빠른 속도로 공격하며, 점프 공격이 위협적. |
미스터 X의 경호원들 | 스테이지 7 | 다양한 적들이 연속으로 등장하는 보스 러시. |
BGM & 사운드
유조 코시로(Yuzo Koshiro)가 작곡한 OST는 게임의 분위기를 잘 살리며, 일렉트로닉, 테크노, 하우스 음악 요소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 대표적인 명곡: Fighting in the Street, Moon Beach, The Last Soul, Beatnik on the Ship
- 전반적으로 세련된 사운드로 당시 메가 드라이브의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음.
평가
- 발매 당시 “메가 드라이브 최고의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 중 하나로 평가받음.
- 파이널 파이트의 메가 드라이브 이식이 원작보다 열악한 퀄리티였던 것과 달리, 베어 너클은 원작 게임 자체가 메가 드라이브용으로 최적화되어 더 나은 평가를 받음.
- 후속작 베어 너클 II에서 액션, 그래픽, 사운드가 대폭 개선되면서 시리즈가 더욱 유명해짐.
- 90년대 이후에도 레트로 게임 팬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얻으며, *베어 너클 IV (2020)*의 출시로 다시 한번 재조명됨.
일판과 북미판의 차이점
베어 너클 (Bare Knuckle / Streets of Rage) 1편은 일본판과 북미판(및 유럽판) 간에 몇 가지 작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게임 시스템은 동일하지만, 표현, 사운드, 텍스트 등에서 문화적 차이에 따른 수정이 이루어졌다. 그래도 1편은 후속작인 2, 3편에 비하면 차이점은 거의 없는 편이다. 오히려 2와 3에서 일판과 북미판 간에는 큰 차이점이 있어서 그에 비하면 1편은 아주 소소한 차이점이 있지만, 거의 똑같다고 해도 무방하다.
■ 제목 및 로고
버전 | 제목 | 비고 |
---|---|---|
일본판 | Bare Knuckle: 怒りの鉄拳 (분노의 철권) | “Bare Knuckle”은 ‘맨주먹’이라는 의미 |
북미/유럽판 | Streets of Rage | 서양 유저들에게 더 익숙한 거리의 폭력 이미지 강조 |
■ 오프닝/스토리 텍스트의 표현
- 일본판은 보다 직접적이고 어두운 뉘앙스로 서사를 전달.
- 예: “범죄 조직이 경찰 고위 간부들을 매수했다”
- 북미판은 다소 순화된 표현을 사용.
- 예: “The syndicate has taken control of the city” (조직이 도시를 장악했다)
→ 검열보다는 문화적 코드 차이에 가깝다.
■ 캐릭터 소개 텍스트
- 일본판은 캐릭터 배경을 간단히 서술함 (예: 복싱 출신, 전직 경찰 등).
- 북미판은 캐릭터 소개에 약간의 과장이 섞인 서사적 스타일.
- 예: “Axel is a former police officer, a martial arts expert determined to clean up the city.” (엑셀은 전직 경찰관이며, 도시를 청소하기로 결심한 무술가이다)
■ 사운드 및 음성
- 음성 효과(Voice Sample)
일본판과 북미판은 대부분 동일하나, 다음과 같은 미묘한 차이 있음:- 일부 적 캐릭터의 비명 소리나 히트 효과음이 일본판에서 더 강하게 들리기도 함 (음향 믹싱 차이)
- 타이틀 음악의 음량과 톤이 조금 다르다는 보고도 있으나, 대부분 기기/리전 차이에서 오는 오디오 출력의 미묘한 차이에 가깝다.
■ 난이도
- 일부 보고에 따르면, 북미판이 적의 반응속도나 공격성이 약간 더 높다는 플레이어 체감이 있음.
- 하지만 실제 ROM 분석상 큰 차이는 없음.
- 오히려 2편, 3편에서 난이도 조정 차이가 뚜렷해짐.
■ 스테이지나 적 디자인
- 큰 차이는 없음.
- 단,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일본판의 특정 적 이름이 다르게 표기된다는 의견이 있으나, 이는 대부분 게임 외부의 설명서나 매뉴얼 번역 차이에 의한 것이다.
■ 엔딩 텍스트
- 일본판: 엔딩에서 도시의 평화 회복과 주인공들의 명예에 대한 보다 낭만적이고 이상적인 서술이 있음.
- 북미판: 좀 더 간결하고 건조한 스타일로 마무리.
- MMD Apink Dumhdurum 에이핑크 덤더럼 1920*1080 - 2025년 10월 15일
- MMD 관련 다운로드 사이트 링크 - 2025년 10월 11일
- 사가트 공략 – 스트리트파이터2 대쉬 터보 - 2025년 10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