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43

기술표

기술명 커맨드 비고
특수기
학각락 3+강K  
응조각 (공중)2 + 중K 버튼 연타로 다단히트
잡기
호습도 4 or 6 + 중P or 강P  
용성락 (공중) 8이외 중P or 강P 공중 잡기
제로 카운터
K (가드중) 412+K 앉아 중K
필살기
기공권 4(모으고)6+P 장풍
천승각 2(모으고)8+K 대공기
백열각 K연타  
선원축 63214+K 중단
슈퍼 콤보
천열각 4(모으고)646+K 백열각 강화버전
기공장 236236+P 기공권 강화버전
패산천승각 1(모으고)319+K 천승각 강화버전

각 기술 특징

기공권

장풍을 쏘고 난 직후 경직치가 보통보다는 높다. 하지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인 연출은 없기 때문에 애매한 거리에서 확실하게 경직치 보너스를 획득했는지 알 수는 없다. 다른 장풍계 기술들과 비교하면 발사까지 경직은 긴 편이지만 장풍을 쏘고 난 후 경직은 짧은 편에 속한다.

학락각

춘리가 처음 선보였던 스트리트파이터2 시절부터 쭉 있어온 특수기이다. 발동 속도가 느리고 눈에 훤히 다 보이는 기술이기 때문에 별로 좋지 않은 기술인 것 같지만 의외로 당하면 대응이 어려운 기술이다. 당하는 쪽은 가드 방향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응조각

이 또한 위의 학락각과 같이 예전부터 있어왔던 특수기이다. 공중에서 상대를 밟는 기술인데 어지간한 상대의 기술은 다 씹어버리는 기술이다. 이 게임에서는 중K를 연타해서 최대 3히트까지 낼 수 있다.

용성락

춘리의 공중잡기다. 던지는 모션은 일반 던지기인 호습도와 같지만 이름은 어째서인지 다르다. 레버의 방향으로 던지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레버 2 방향으로 잡으면 전방으로 던진다.

천승각

다리로 상대를 연속으로 차올리며 공중으로 날아오른다. 시리즈의 썸머솔트 킥이랑 비슷하지만 성능은 그보다 못하다. 원래는 5히트까지 휘두르지만 최대 3히트까지 가능하고 1히트째가 가장 위력이 강하다. 그리고 1히트째까지는 완전무적이기 때문에 대공기로서 신뢰가 높은 기술이다. 3히트째 이후에는 공중 가드가 가능해진다.

백열각

춘리를 상진하는 기술이다. K를 연타해서 내는 기술이고 상대는 공중가드를 할 수 없다.

선원축

조금 도움닫기를 한 다음 물구나무를 서서 발 뒤꿈치로 내려 찍는다. 판정이 중단이고 여러가지 장점이 많아서 이번 작품에서 춘리로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 기술이다. 물구나무를 서는 동작까지는 무려 완전무적상태이다. 그리고 동작이 끝날 때까지 다리 부분은 상대의 공격이 닿질 않는 무적상태이다. 한마디로 완전무적 다음은 부분무적상태. 약과 강의 차이는 리치가 다르다는 데에 있다. 약으로 쓰면 리치가 짧고 강으로 발동시간이 늘고 쓰면 리치가 길다. 기술 자체가 공중 판정이기 때문에 만약 상대의 공중 공격을 받는다면 지상히트가 아닌 공중히트로 판정이 되어서 상대에게 연속기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천열각

전진 난무형 초필살기. 주로 연속기의 마무리로 많이 쓴다. 저축형 기술인 만큼 초보는 연속기로 쓰기가 좀 힘들다. 공중에 있는 상대에게 히트시킨다면 연타는 별로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기공장

춘리의 손 앞에 구체의 기공을 발생시키는 초필살기이다. 커맨드가 파동권 2번이라 쓰기가 쉽다. 처음에는 구체의 공격 판정 범위가 좁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점 넓어진다. 그리고 약에서 강으로 쓸수록 구체의 생성 시간이 늘어나고 상대에게 주는 히트 수도 같이 늘어난다. 그리고 기술을 발생하는 순간에는 완전무적상태인데 LV가 높을수록 무적시간이 늘어난다.

패산천승각

천승각의 강화버전 초필살기로 성질도 천승각과 비슷하다. 물론 천승각보다 히트 수도 많고 위력도 크지만 천승각과 마찬가지로 춘리가 다리를 휘두르는 횟수에 비해 히트 수가 적다. 기술을 정확하게 상대에게 먹여서 최대 히트 수를 내더라도 춘리는 항상 3히트를 적게 치게 된다.

추천 연속기

한국의 둥근 레버로는 어려운 연속기는 힘들다.

점프 강P > 앉아 약K > 앉아 중P > 앉아 강K

앉아 약P*2 > 앉아 약K > 앉아 중K

점프 강P > 앉아 약K > 앉아 중P > 천열각(4(모으고)646+K)

앉아 약K > 앉아 중P > (강)천승각

영상자료

준비중

스테이지

원코인연구소
Latest posts by 원코인연구소 (see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