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783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6ad04f7447e4ff027eed7c4dd093a3af.jpg?x=767)
2025년 2월 13일 발표와 동시에 코에이테크모 게임즈에 의해 발매된 로그라이크 액션 <무쌍 어비스>. 대응 기기는 Nintendo Switch, 플레이스테이션4, 플레이스테이션5, Xbox Series X|S、PC (Steam) 이다. 발표와 동시에 패미통에서 선행 플레이 리뷰가 발 빠르게 올라와 (by西川くん) 독자들과 게임의 맛을 미리 공유해보려 한다.
이번 리뷰의 필자(西川くん))는 제품판 선행 플레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다시 한번 덧붙이면 필자가 이 리뷰를 쓴 것이 아니고 패미통의 리뷰를 필자가 번역한 것임을 알려둔다.
원본을 원하는 독자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길 바람.
무쌍 X 로그라이트!
코에이테크모의 <무쌍> 이라고 하면 일기당천의 상쾌함을 맛볼 수 있는 액션 게임이라 할 수 있다. 본작은 그 흐름을 이어받은 신작이다. <진 삼국무쌍>(이하 진삼)과 <전국무쌍>(이하 전국)의 무장 100인이 참전하여, 이 게임만의 독특한 전투를 벌여 나간다.
이번 작품의 무대는 동양의 세계관에서 지옥이라 할 수 있는 세계. 저승의 왕 “엠마” 가 지옥에 살고 있는 “고우마” 를 토벌하기 위해 이계의 영웅들을 소환한다. 그 영웅들이 바로 <진삼>, <전국>의 장수들이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7d0d7bcf9f6b955a942df3354c5b8466.jpg?x=767)
스토리는 아주 조금 준비되어 있지만 거의 없다고 보면된다. 해금을 통해 각종 설정 등을 열람할 수는 있지만 게임의 메인 컨텐츠는 순수하게 전투를 즐기는 데에 초점이 맞줘져 있다.
본작은 “로그라이트 무쌍” 이라는 장르에서 보듯이 반복적으로 단시간 플레이에 특화된 무쌍 타이틀이다. 로그라이트 란 장르의 정의는 약간 애매하긴 하지만 본작에 있어서는 1회 던전을 공략하는 것이 게임 내의 사이클로 1주(한바퀴)가 되는 구조라서 클리어 하거나 사망하여도 던전 공략에서 얻었던 포인트나 레벨이 어느정도 유지가 되어 다음 동일 던전 공략에는 약간 더 난이도가 쉬워지는 스타일의 핵앤슬러쉬 게임이다.
잘 풀리면 최초의 난이도는 던전 하나 1시간 정도에 클리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랜덤성이 강하기 때문에 쉽게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몇 번이고 도전을 해서 파티 구성을 고민하는 빌드를 구축하는 재미가 있는 중독성 강한 타이틀이라 할 수 있겠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d8d732fdf90b1d8b69a39d52a9626545.jpg?x=767)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e4f3246473de30000bfec2df7b824a4d.jpg?x=767)
지옥의 깊은 곳으로 나가자
플레이어는 좋아하는 장수(본작에서는 영걸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하 영결이라 칭함)을 선택하여 8구획*4개층의 스테이지를 공랙해가면서 최종 단계에서 기다리고 있는 “고우마”를 쓰러뜨리면 클리어 한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75517cfec6a78d77ab96aad8fdbfdf2a.jpg?x=767)
각 구획은 타 게임의 스테이지에 해당되며 기본은 지정된 적병사수를 무찌르면 종료된다. 때로는 미션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서 달성하면 보수가 호화로워진다.
각 구획을 클리어하면 영걸을 동료로 하거나 아이템을 입수할 수 있게 된다. 기본은 영걸을 동료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그 외의 것은 서브 요소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b91d55bcf564242e44a5efe6accf0835.jpg?x=767)
몇 가지 구획을 달성하는 이벤트가 있지만 기본은 동료를 추가하는 “맹약을 결성한다” 가 메인이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5341fe807745b87fdecb48dde61b79fd.jpg?x=767)
구획을 시작할 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5ef8a57a2c2602c9d60b910e2b59ec49.jpg?x=767)
도전 중의 전용 샵 “대왕의 가마솥” 이 있는 구획도 있다. “진형”은 대왕의 가마솥이라는 샵에서만 구할 수 있다.
또, 각 계층의 8구획째에는 중보스가 기다리고 있어, 잘 빌드를 구축하지 않으면 쓰러뜨리기 어렵다. 어떻게 각 계층에서 파티(데크)를 강화해, 어떻게 보스를 쓰러뜨릴 것인가가 중요하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8405104adfb28c4f19039a14694ca1d3.jpg?x=767)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100명이나 되는 영걸로 각각 액션이 다르다. 조작 캐릭터로 선택한 영걸은 “조작 영걸”이 되어, 각각 고유의 패시브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다만, 갑자기 100명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해방되고 있는 것은 몇 명으로, 나중에 스스로 해방해 가는 시스템. 도전할 때마다 쌓여가는 포인트 “업형화”를 소비하고, “혼결간” 이라는 메인 메뉴의 항목으로 해방하면 사용 가능해진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1f634598c8c91e07fb6156effc7a98bc.jpg?x=767)
영걸 외에도 진형이나 특수효과 등도 해방시킬 수 있다.
무쌍 시리즈 팬으로서는 100명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삼국과 전국이 뒤섞이는 부분은 무쌍 오로치 시리즈를 방불케 하는 것이므로 새로운 게임으로서의 참신함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로그라이트라는 장르로 보면 압도적인 플레이 볼륨을 자랑하고 있다.
체력이 전부 소진되면 패배가 되어, 그 플레이 중에 얻은 일부 포인트를 가지고 돌아가지만, 모은 동료나 레벨 등은 모두 리셋된다. 레벨에 대해서는 누적 레벨이라고 축적되는 요소가 있으므로, 같은 영걸을 계속 사용하면 누적 레벨이 축적되어 보너스 능력치를 얻어 다음 플레이가 편해질 것이다. 때때로 랜덤으로 “업형화” 입수량이 1.5배가 되는 영걸이 나오기도 하는 등 플레이어가 여러 영걸을 사용하게 유도하는 요소도 구비되어 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12250664b1e63fa2d95d8d7ce7eeaf34.jpg?x=767)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1a81c5660034594af4c8fc48e347867f.jpg?x=767)
간결하게 정리된 무쌍 액션
액션은 「무쌍」시리즈다운, 통상 공격과 그 파생의 차지 공격을 구분해 사용하는 친숙한 시스템. “진삼” 캐릭터들은 EX차지 공격을 사용할 수 있고(빌드 구축으로 해방된다), “전국” 캐릭터들은 이동하면서 적을 공격할 수 있는 “신속 공격”을 가지고 있다(이 기능은 처음부터 사용 가능).
무쌍 게이지를 모으는 것으로 발동할 수 있는 “무쌍 난무”는 있지만, 그 외의 액션은 거의 없다. 가드는 없고, 공격과 회피의 두 가지가 기본 액션으로 되어 있어 조작 자체는 매우 간단하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eb05e2a538a7e1db094b8c8af29fe7e2.jpg?x=767)
본작만의 요소로서 덱에 편입한 최대 6명의 영걸들을 소환할 수 있는 “영걸 소환”이 있다. 이는 차지 공격 후 쿨타임을 가진 영걸들을 소환해 즉석에서 공격하거나 지원 효과를 얻는 것.
소환할 수 있는 6명의 영걸들은 각 액션의 파생차지 공격과 맞물려 배치된다. 예를 들어, 차지 공격 2(통상 공격→차지 공격)라면 첫 번째 영걸이, 차지 공격 3(통상 공격→통상 공격→차지 공격)이라면 두 번째 영걸을 소환할 수 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f1603890de81ecbb85d780d983368c70.jpg?x=767)
게다가 “일제 소환” 게이지를 최대까지 모으면, 덱에 짜 넣은 모든 영걸들을 게이지를 다 소비할 때까지 계속 소환하는 “일제 소환”이 발동 가능하게 된다. 일제히 소환 중에는 플레이어 혼자 + 자동으로 움직이는 6명이서 싸우는 상태가 되어, 구축한 빌드의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빌드가 잘 구축되어 있다면, 게임 화면은 이펙트 투성이이고 뭐가 뭔지 모르는 카오스한 상태가 되지만, 적을 압도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공격이 된다. 이러한 모습이야말로 로그라이트 다운 부분이며, 본작만의 「무쌍」액션을 만끽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장면이라 할 수 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966b33257f46a5b276f55e2cb69e3185.jpg?x=767)
그런 이유로, 본작의 게임 화면은 엉망인 경우가 많아,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모를 상태가 된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0512744fa5e9ea1f57b0e919d2396746.jpg?x=767)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43c79844b601f9e5a97f68f1b1bbca0a.jpg?x=767)
액션면에서 독특한 것이 삼국과 전국에서 성능이 약간 다르다는 점. 영걸에 따라서도 공격 모션은 제각각이지만 기본적으로 전국은 차지 공격 모션이 처음부터 전체적으로 길어 연속 공격을 하기 쉽운 장점이 있다. 그렇기에 전국이 더 강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영걸 소환”은 차지 공격을 차지 공격 후에 나오기 때문에, “영걸 소환”을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한 점을 보충하는 것이 “전국”만이 사용할 수 있는”신속 공격”. “신속 공격”은 위력은 낮지만 한방 한방의 모션이 짧고, 공격 1회마다 “영걸 소환”이 가능하므로, 통상의 차지 공격과 구분하면서 싸우기 쉽다.
“진삼”은 반대로 전체 모션이 짧은 기술이 많기 때문에, “영걸 소환”을 섞어가며 싸우기 쉬운 심플한 성능이 장점이다. 영걸마다 차지 공격의 성능은 다르기 때문에, “어느 차지 공격에 영걸을 배치하는가?” 하는 덱 편성의 묘가 이 게임의 재미있는 점이다.
덧붙여서 해방 요소의 하나로, 차지 공격의 도중에도 영걸 소환을 할 수 있는 “퀵 소환”도 있다(편리하지만, 사용하면 쿨 타임이 증가한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2bbdd347d75f335dc4e871d47cf4b4aa.jpg?x=767)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b95062ee5ec2d18941489bc6073880eb.jpg?x=767)
무장을 모으는 빌드가 키 포인트!
자, 본작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며, 독특한 것이 빌드의 구축이다. 플레이어는 동그란 모양의 아이콘인 “인”을 모으는 것으로 강화되어 인에는”힘”이나”지”라고 하는캐릭터의 기본 능력을 강화하는 것과, “참격”,”전격”, “염”, “풍” 등의 속성 공격을 강화하는 것의 11종류의 “인”이 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95f73ab6bd2b01b8af11fe2ab031e937.jpg?x=767)
영걸의 몸 아래에 있는 동그란 아이콘이 표시. 그 밑에 있는 태그가 특수 표시. 왼쪽에 적혀 있는 것이 소환기와 고유전법의 해방 조건과 성능.
“인”은 적을 쓰러뜨린 뒤 랜덤으로 아이템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보물상자로부터 손에 넣는 등 여러가지 입수방법은 있지만, 메인이 되는 입수법은 구획을 클리어한 후에 정파리 어린 나무에서 영걸과의 맹약을 맺는 것으로 취득 하는 것이다. 영걸들은 각각 1~4개의 “인” 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영걸과의 맹약을 통해 동료를 얻은 시점에서 그 “인” 플레이어의 것이 된다. 영걸마다 가지고 있는 “인”은 고정적인 것으로, 구획 클리어 후, 정파리 어린 나무에서 랜덤으로 제시되는 영걸들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인”을 찾아 동료를 만드는 것이 캐릭터를 강하게 하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영걸은 “도장”인”이 두 개인데 여포와 혼다 다다카쓰는 4개, 일부 유명한 영걸은 3개로 되어 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1d7c94868bfbc14d29c2b38bb46eef73.jpg?x=767)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008cd27efea6feda2df3ff83fdd67b38.jpg?x=767)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58a7c36d842273e85568008645e5f999.jpg?x=767)
일부 영걸은 “인”이 하나지만 대신 강력하고 독특한 성능을 갖고 있기도 하다.
“인”은 모을 때마다 능력이 강화되어 각각 특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인”을 계속 모아서 특화시켜도 좋고, 골고루 취득해도 좋을 것이다. 게임 화면에서는 많은 정보들이 넘쳐나서 까다롭게 보일 수도 있지만, 요점은 “인”을 모으다 보면 전체적으로 캐릭터가 강화되어 가는 게임이다.
“고유전법”은 그 특수 인의 수를 모아서 부대(데크)에 짜 넣는 것으로 발동한다. 일부 영걸은 특정 영걸이 필요조건이 되기도 한다. “고유 전법”의 발동 조건은 게임 화면 6개의 칸에 해당하는 덱에 삽입하지 않고 대기하고 있어도 충족된다.
이 부분이 랜덤성, 캐릭터성, 그리고 빌드 구축의 즐거움에 관련되어 있는 포인트. 영걸들을 마작패에 올려놓고 역할을 갖추어 나가는 구축의 관리를 즐길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령 조조라면 “위”의 특수인을 10개 모으면 “위”의 영걸이 모두 강화되는 고유 전법을 가지고 있다. 위진영의 동료를 10명으로 만들면 좋겠지만 100명 중에서 10명 위진영을 모으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니다. 이 데크는 말하자면 조조를 축으로 한 위 데크라 할 수 있다.
또한 유비라면 관우·장비가 있으면 의형제 버프라는 느낌으로 3명이 대폭 강화된다. 데크에는 조작 영걸을 제외한 6명의 영걸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더 남은 부분에서 유비·관우·장비와 시너지가 있는 영걸을 편입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감각으로, 원작의 관계성등을 게임내에 도입한 시너지가 많고, 거기에서 if의 시너지를 낳는 「무쌍」시리즈이기 때문에 그 덱 구축이 매우 즐겁다. 진영은 매우 알기 쉽지만, 그 밖에도 여성진이 가지고 있는 것이 많은”전장의 꽃”을 갖추는 것으로 발휘하는 고유 전법등도 존재한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0aa0005e46935f65f77ef2c786421f9f.jpg?x=767)
오쿠니는 일제소환을 할 때마다 체력을 회복한다. 본 작품은 체력 회복 방법이 상당히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다만 발동 조건의 “무소속” 3명을 모으는 것은 꽤 힘들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d0e88b33b241c9eec89c95c41408a502.jpg?x=767)
또한 그 밖에도 소환기술의 강화조건에 특수인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이쪽도 특정한 영걸이나 증표가 필요하다. 고유전법과 소환기 강화, 이들을 충족시키면서 기초 위상을 갖추는 것이 본작의 묘미이자 기본이 되는 빌드 요소다.
복잡한 것 같지만 익숙해지면 심플!
어쨌든 강해지려면 “인”이나 “증표”를 갖추어 버리면 되지만, 게임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많기 때문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복잡한 게임으로 보일 것이다. 또, 통상의 증표들은 많이 모을수록 강력해져 가는데, 두 자리수를 넘을 때까지 겹치지 않으면 거기까지의 강함은 체감하기 어렵다. 참고로 표시의 효과는 정보 전환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구체적인 효과는 표시된다. 그러나, 거기에 눈치채지 못하면 무엇이 강해지고 있는지 알기 어려운 점도 있다.
그것을 보충하듯 「일단 이것을 취하면 된다」라고 하는 증표가 몇 개 있다. 뭔가 강화를 할 때마다 “전투력”이 올라가는데, 이것은 파티 전체의 세기의 참고 수치. 이 수치는 전투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 않지만, 왠지 “전투력이 높기 때문에 강력한 덱이다” 와 같은 참고 사항이 된다. “인”을 취득할 때는 전투력을 보고 판단하는 것도 좋다.
또한 영걸을 동료로 삼을 때 영걸 주위에 황금색으로 빛나는 경우가 있다. 표시를 일정 수까지 취득했을 때나, 영걸의 고유 전법, 소환기 강화의 조건을 만족시킬 때 등에 빛이 나므로, 일단 누구를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노랗게 빛나는 영걸을 동료로 하면 된다. 강해지는 지름길은 고유 전법을 발동하는 것이며, 어느 한쪽의 고유 전법을 목표로 덱 구축을 목표로 하는 것이 공략의 열쇠다. 강력한 것일수록 갖추기 어렵고, 갖추었을 때는 그야말로 역만(번역주 : 마작에서 아주 좋은 패)이라는 느낌으로, 절대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8c1a135769e6627a7863f2f7cfe33dd5.jpg?x=767)
6명의 영걸을 덱에 넣는 것도 복잡한 요소이지만, “엠마의 추천 편성”을 사용하면 자동적으로 전투력이 가장 높아지는 편성으로 해준다. 물론 전투력밖에 보지 앉기 때문에 가장 강한 편성이라고 할 순 없다. 하지만, 덱 구축의 베이스로 활용하기 쉽고, 덱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초반에는 어쨌든 추천 편성을 사용해, 후반부터 덱을 활용하여 개판 난투극이 가능하다. 어려운 것을 생각하고 싶지 않은 사람은 추천 편성만으로 싸우는 것도 당연할 것이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9ef7baca376cb42bca42c69234d367bc.jpg?x=767)
오른쪽 하단에 적혀 있는 것이 전투력 수치.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3e36286d2e4a1c58061f5636abd0fd3f.jpg?x=767)
본 작품은 익숙해지면 하는 일은 심플하지만, 거기에 도달하기까지가 꽤 힘든 게임이다. 복잡한 제작은 되어 있지만, 어느 정도의 가이드 요소가 존재하는 것은 좋다.
참고로 본 작품을 시작한 플레이어는 초반이 특히 고전하기 쉬울 것이다. 영걸들은 해방시키지 않으면 플레이어블이 되지 않으며 고유전법 등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게다가 영결들을 해방할 때마다 영걸 전원의 기본 능력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해방하면 할수록 공략이 편해지기 때문이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f5be706a3407363e176a9657dc8b9606.jpg?x=767)
구획에서는 미션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1d499e696f5acd6832e524eaca2baf46.jpg?x=767)
추가적인 파고들기 요소
보스전은 특히 만만치 않지만, 회피만 제대로 되어 있으면 공격을 당하는 일은 비교적 적다(표시의 “속”을 하나라도 잡아 두면, 회피에 무적 시간이 부여되므로, 보다 안전). 단지, 주는 데미지가 적으면 보스의 맹공을 오래 견뎌야 하기 때문에, 돌파하기 어렵게 된다.
한 번의 기회로 격파할 수 있다면 자신들이 엄청 강하다는 것. 고전하는 것 같으면 더욱 빌드를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자신의 강함을 확인하면서 끝판왕 “고우마”전을 목표로 하자.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be4428d942be73012434a1072f646c55.jpg?x=767)
플레이에 따라서 시간은 제각각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한 바퀴 대체로 1시간 정도로 끝낼 수 있기 때문에, 틈새 시간 등에 놀기 쉽고, 간편하게 도전할 수 있는 것이 좋은 포인트. 한 바퀴를 클리어하면 그것으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답파 레벨”이 해방되어 난이도를 높여 한층 더 높은 난이도의 던전에 도전할 수 있다. 난이도를 높이면 여러 가지 단점이 늘어나지만, 받을 수 있는 포인트가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841e6188227e4c2d3a149221a8dc8cee.jpg?x=767)
또 보물상자 등에서 “유니크 무기”를 입수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입수하면 대상이 되는 조작 무장의 또 하나의 패시브 효과가 해방되어 보다 강력한 성능으로 진화한다. 독특한 무기는 1영걸 1개 대상이므로 100개가 존재한다. 한 번의 도전으로 구할 수 있는 경우는 드물고, 운이 좋으면 한 두 개 얻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 도입 요소의 하나가 되고 있지만, 영걸 해방에 사용하는 포인트를 대량으로 사용하면, 지정한 유니크 무기를 받을 수 있는 구제 요소도 있다(다만, 정말 비싸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9859fe0ce055bec17f23d74ea281e434.jpg?x=767)
보스를 쓰러뜨리면 “유보”를 랜덤으로 제시된 3개 중 하나를 손에 넣을 수 있다. 효과는 독특한 것뿐.
우선의 100인의 영걸들을 해방하자!
전체적으로는 간편하게 플레이 할 수 있는 다운그레이드 형의 「무쌍」이라고 하는 모습이지만, 실제로 플레이 해보면 빌드가 꽤 중요하고, 나름의 액션도 요구되기 때문에, 난이도는 꽤 높다. 깊은 계층으로 갈 때마다 적의 맹공은 엄청나고, 최종적으로는 “당하기 전에 공격한다”와 같은, 몸을 지키는 방법이 적을 쓰러뜨리는 것에 치우쳐 간다. 이 부분은 빌드가 중요한 본 작품과 잘 어울리는 조합이라고 느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cfa915d20bf2b5509471543464106e96.jpg?x=767)
또, 두 시리즈 모두 최신작은 「진·삼국무쌍 ORIGINS」, 「전국무쌍 5」로 지금까지의 노선과는 다른 제목으로 되어 있어 캐릭터의 방향성도 상당히 다르다. 오랜만에 예전의 무쌍무장들의 활약을 볼 수 있었던 것은 매우 그리운 기분이 들었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b68f746f114959841e6cd62caee469a3.jpg?x=767)
영걸소환의 소환기술이 텍스트의 전부이므로 사용해 볼 때까지 성능을 모른다, 화면 정보가 너무 많아서 이해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등의 난점은 있지만, 번잡하기 때문에 깊은 빌드를 즐길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은, 플레이 해 나가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반복 플레이 률은 매우 높고, 몇 번이고 몇 번이고 도전하고 싶어지는 만듦새가 되어 있다. 다만 영걸을 모두 풀어주고 나서 오히려 실전 같은 느낌으로 진정한 즐거움을 맛보기 위해서는 반강제적으로 주회 플레이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면에서 사람에 따라서는 깊이 빠지기 전에 질려 버릴지도 모른다.
![[IMAGE]](https://cimg.kgl-systems.io/camion/files/famitsu/32357/a25fff8a70f3d5cb58ded5c7b0f48b478.jpg?x=767)
일제 소환 시 무쌍난무를 쏘면 적 전체를 폭발시키는 초강력으로 변화한다. 화려하고 기분이 좋지만, 발동 전에 적을 전멸시켜도 연출이 들어가 버리는 것은 커트할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했다.
무쌍 시리즈 팬은 물론 삼국·전국 무장의 지식이나 이야기는 특별히 관계없기 때문에 순수하게 로그라이크 액션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추천할 만한 작품이다. 가격도 통상판은 2970엔[세금 포함]과 비교적 적당한 가격이기 때문에, 꼭 부담없이 다운로드 해 보면 좋겠다.
- MMD Apink Dumhdurum 에이핑크 덤더럼 1920*1080 - 2025년 10월 15일
- MMD 관련 다운로드 사이트 링크 - 2025년 10월 11일
- 사가트 공략 – 스트리트파이터2 대쉬 터보 - 2025년 10월 11일